
[잡포스트] 홍승표 기자 = 경기도는 지난 18일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2021년 경기도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산업 육성 통합 포럼 및 대·중소기업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포럼은 '경기도 소부장 산업 기술독립의 세 가지 시선 – 새로운 협력과 공존의 방식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소부장산업의 국산화를 위해 정책수행자, 대기업, 중소기업 관점에서의 다양한 상생협력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소부장 산업의 기술독립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나서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포럼 주제발표로는 이정훈 대·중소기업 농어업협력재단 부장이 나섰다. 이정훈 부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대·중소기업간 자본 참여 확대를 통한 전략적 파트너쉽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대기업-중소기업-정부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자"고 강조했다.
또한, 포럼에 참여한 민종철 전 현대자동차 이사는 "글로벌 시장을 이끌 소부장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의 근본적이면서 획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장식 네프코 이사는 "대·중소기업이 소부장 산업 국산화를 위해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진 전체 자유토론은 고중혁 중앙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 조진우 KETI 본부장, 이대표 경기수출기업협회 회장, 김성수 한국나노기술원 실장, 유광민 인천TP 박사, 김정희 전자신문 차장, 김추호 나래나노텍 상무 등이 나섰다.
토론 참석자들은 소부장 산업 국산화를 위한 상생협력의 중요성에 목소리를 같이 했다.
이날은 포럼 외에도 '2021년 소부장 산업 대·중소기업 기술교류회'가 마련됐다. 기술교류회에서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6건의 기술을 중심으로 KT, 롯데홈쇼핑, 참메드 등 수요-공급기업 12개사 간 1:1 기술매칭 상담이 이뤄졌다.
경기도는 기술 매칭이 이뤄진 수요-공급기업 중 3개사를 선발해 기술개발비, 기술도입비 등의 자금을 최대 7000만 원까지 지원해 대-중소기업 간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협업 생태계 구축을 지속적으로 도울 방침이다.
노태종 경기도 특화기업지원과장은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대-중소기업간 상생 협력이 필수인 만큼, 수요-공급기간 간 협업 생태계 구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번 정책 포럼을 정례화하여 포럼에서 제시된 여러 의견들이 정책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부터 유망 소부장 기업의 기술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부장 기업 육성 지원사업, 대중소기업 기술 교류 지원사업, 소부장 정부사업 참여컨설팅 총 3가지 신규 사업에 예산 20억 원을 편성했다.